본문 바로가기
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제37조 안전보건표지의 설치 부착

by 북길 2025. 2. 7.
반응형

1. 법령의 요지

 1) 사업주는 위험한 장소나 시설에 금지, 경고, 지시, 안내사항 등의 안전보건표지를 설치하거나 부착한다.

 

 2) 외국인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안전보건표지를 외국인근로자의 모국어로 작성하여야 한다.[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3)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형태, 색채, 용도 및 설치,부착 장소는 고용노동부령[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8조]으로 정한다.

안전보건표지
안전보건표지

 

 

2.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산업안전보건법 제175조 5항]

 

 

반응형

3. 안전보건표지의 현장부착사진 및 설치기준

 1) 현장부착사진

              방독마스크와 보안경 지시안내 

안전보건표지

              보안면, 안전장갑 착용 지시안내

안전보건표지

 

 2) 안전보건표지의 설치기준 

  - 안전보건표지는 근로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시설 또는 물체에 설치 부착하여야 한다.

  - 흔들리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 부착하여야 한다.

  - 안전보건표지의 성질상 설치 또는 부착이 곤란할 경우에는 해당 물체에 직접 도장할 수 있다.

 

 3) 사업주 및 근로자 준수사항

  - 작업장 내 설치장소의 조건이나 상태에 따라 규정에 의거해 적정하게 제작설치 및 사용해야한다.

  - 임의로 안전보건표지를 보이지 않게 가리거나 제거해서는 안된다.

  - 안전보건표지는 근로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 부착된 안전보건표지에 항상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교육 등을 통하여 안전보건표지 내용 준수를 생활화하도록 한다.

  - 주기적으로 안전보건표지의 설치상태 및 변형 유무 등을 점검한다.

  - 유해위험요인이 변경된 작업장의 경우에는 그에 적절한 안전보건표지를 교체해 설치한다.

 

 

4. 산업안전보건법 제37조 안전보건표지의 설치부착

제37조(안전보건표지의 설치ㆍ부착) ①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ㆍ시설ㆍ물질에 대한 경고,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한 지시ㆍ안내 또는 그 밖에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항 등을 그림, 기호 및 글자 등으로 나타낸 표지(이하 이 조에서 “안전보건표지”라 한다)를 근로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붙여야 한다. 이 경우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외국인근로자(같은 조 단서에 따른 사람을 포함한다)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안전보건표지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외국인근로자의 모국어로 작성하여야 한다. <개정 2020. 5. 26.>
  ②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형태, 색채, 용도 및 설치ㆍ부착 장소,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5.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8조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형태 색채 및 용도 등

제38조(안전보건표지의 종류ㆍ형태ㆍ색채 및 용도 등) ① 법 제37조제2항에 따른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는 별표 6과 같고, 그 용도 , 설치ㆍ부착 장소, 형태 및 색채는 별표 7과 같다.
  ② 안전보건표지의 표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안전보건표지의 주위에 표시사항을 글자로 덧붙여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글자는 흰색 바탕에 검은색 한글고딕체로 표기해야 한다.
  ③ 안전보건표지에 사용되는 색채의 색도기준 및 용도는 별표 8과 같고, 사업주는 사업장에 설치하거나 부착한 안전보건표지의 색도기준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④ 안전보건표지에 관하여 법 또는 법에 따른 명령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으로서 다른 법 또는 다른 법에 따른 명령에서 규정한 사항이 있으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그 법 또는 명령을 적용한다.

 

6.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안전보건표지 자료

 

화기금지
출입금지
금연

 

우측 비상구
비상구
좌측 비상구

 

반응형

댓글